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입니다. <br> <br>Q1. 사전투표 말이에요. 여당은 아예 없애겠다는 거예요? <br><br>당 소속 의원들이 먼저 띄우며 공론화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장동혁 의원, "사전투표제에 대한 국민 불신을 방치할 수 없다"며 퍠지안 발의했죠.<br> <br>거기에 여권 잠룡도 가세했습니다. <br><br>한동훈 전 대표에 이어 오늘 오세훈 시장까지 사전투표 폐지, 대신 본투표 일수를 늘리는 방안에 동의한단 입장입니다.<br> <br>Q2. 사전투표 어디서도 할 수 있으니 편하긴 하거든요. 왜 폐지하자는 거죠? <br><br>일단 지지자 중 상당수가 제기하는 '부정선거' 의혹의 핵심이 사전투표죠. <br> <br>하지만 중도층은 음모론이라고 보죠. <br> <br>여당은 이렇게 표현합니다.<br> <br>부정선거는 아니더라도 '부실투표'는 맞는 것 아니냐. <br><br>20대 대선 사전투표 때 벌어진 '소쿠리 투표'를 비롯해서, 날인 도장을 찍지 않는 등 본투표에 비해 관리상 허점도 있고, 사전투표와 본투표일 '시간차'로 민심 왜곡이 있을 수 있으니, 아예 없애자는 거죠.<br> <br>Q3. 그래도 야당은 부정선거에 동조하냐 비판 하더군요? <br><br>이런 속내도 있어 보입니다.<br><br>그동안 여당은 사전투표 독려에 애를 먹어왔습니다. <br> <br>지지자들 상당수가 사전투표에 불신을 가지면서 본투표만 하겠다고 했었거든요. <br> <br>실제로 사전투표가 여당에 불리하다는 인식도 있습니다. <br><br>Q4. 그럼 투표율이 떨어지지 않나요? <br><br>여당은 그래서 본투표일을 지금 하루에서 금토일, 사흘로 늘리는 대안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사전투표 도입해도 투표율이 하락세니, 오히려 본투표일을 늘리면 투표율도 보완하고 신뢰도 높이자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Q5. 야당은 뭐라고 하나요? <br><br>야당은 여당의 꼼수라고 봅니다. <br> <br>"사이비 약장수가 따로 없다"면서 "부정선거 음모론 불씨를 부채질하는 것"이라고 맹비난했습니다.<br> <br>내심 사전투표가 선거 결과에 나쁘지 않다는 분석도 있는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Q6. 그런데 실제 사전투표가 야당에 유리해요? <br><br>저도 궁금해서 가장 최근 전국단위 선거인 작년 22대 총선을 분석해봤는데요. <br> <br>서울지역 48곳 선거구 중에서 사전투표만으론 민주당이 44곳, 국민의힘이 4곳에서 우세했는데, 최종 투표결과는 민주당이 37곳, 국민의힘이 11곳을 가져간걸로 나타났죠.<br><br>본투표가 합쳐지면서 야당 우세에서 여당 우세로 뒤집힌 곳이 7곳이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사전투표의 경우 연령층이 낮다보니, 결과적으로는 야권에 유리한 경향이 있지만, 사전투표율이 높아지면서 그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하더라고요. <br> <br>Q7. 그런데 조기대선이 열린다면, 실제로 이번 선거부터 사전투표가 없어질 가능성도 있는 거예요? <br><br>사전투표 폐지는 법 개정 사안입니다. <br> <br>여야가 합의하면 가능한 건데 반대로 말하면 야당의 동의 없이는 불가하다는 거죠.<br><br>당장 이번 조기대선에서 현실화되긴 쉽지 않은데요. <br> <br>최근에 부정채용 논란으로 선관위 이슈가 불붙은 상황이죠. <br><br>여당은 이를 동력삼아 야당에 선거 제도 변화를 압박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도부는 부정선거론에 동조한단 프레임이 씌워질까 우려하고 있죠. <br><br>이 이슈를 본격적으로 띄우는 데는 부담인 분위깁니다. <br> <br>지금까지, 이세진 기자와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